-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3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Add AppServe #14
Add AppServe #14
Conversation
d0ac488
to
5848745
Compare
음... 고민했었던 내용입니다. DB 를 추상화하는 repoistory layer 를 완전히 구분하여 DB ORM 을 위한 객체를 디자인하였고, 아키텍처에 정답은 없고 말씀하신 구조가 golang 에 더 적합한게 아닌가 매번 고민하� 부분이지만, 3-layer architecture 상에서는 기존의 java application 과 유사한 구조가 좋을것 같다는 판단에 최종적으로 DAO, DTO 를 구분하는 방향으로 설계하였습니다. API 추가/수정이 항상 유사한 과정을 거치므로 모든 API 의 패턴이 동일한 것이 유리하겠습니다. 논의해보면 좋겠습니다. |
@seungkyua 이슈와 연결 부탁드립니다 (연결할 이슈가 마땅치 않으면 하나 만들어야 되지 않을까 합니다) |
DAO 는 Data Access Object 로 지금의 Repository 에 있는 gorm query 문을 의미하면 그대로 구현되어 있고, DTO 는 Data Transfer Object 로 우리가 흔히 말하는 Value Object 로 현재 xxxRequest, xxxResponse 로 구현되어 있습니다. |
"Domain 객체외에 Repository 에 비슷한 또다른 객체를 만들지 않았다는 뜻입니다." 일단 테스트가 우선이니 merge 합니다. |
appserve 추가
ORM 개념에 맞추어 중복이 되는 repository 의 struct 와 domain 의 struct 를 하나의 domain struct 로 통일
domain struct 의 경우 tks-client 에서도 response 값으로 사용됨
1:N 일 경우 Cascading Loading 적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