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kimyubi/TIL--TestCode

Repository files navigation

TIL--TestCode

목차













테스트 코드는 왜 필요한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지 않는다면

  • 변화가 생기는 매 순간마다 발생할 수 있는 모든 Case를 고려해야 한다.
  • 변화가 생기는 매 순간마다 모든 팀원이 동일한 고민을 해야 한다.
  • 빠르게 변화하는 소프트웨어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다.

테스트 코드가 병목이 된다면

  • 프로덕션 코드의 안정성을 제공하기 힘들어진다.
  • 테스트 코드 자체가 유지보수하기 어려운, 새로운 짐이 된다.
  • 잘못된 검증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생긴다.








수동 테스트 vs 자동화 된 테스트


과연 이 코드가 자동화를 한 테스트인가?

이렇게 콘솔에 출력하여 테스트를 한다면, 결국 최종 확인 주체는 결국 사람이다.

⇒ 콘솔에 출력된 내용을 보고, 코드가 잘 동작하는지 확인해야 함.
⇒ 따라서, 다른 사람이 이 테스트 코드를 봤을 때 무엇을 검증해야 하는지 알 수 없다.
⇒ 현재 테스트 코드는 검증 없이 콘솔에 출력만 하기 때문에 무조건 성공할 수 밖에 없는 테스트 코드이기 때문이다.



단위 테스트(Unit test)

학습 목표

  • 사람이 최종적으로 확인해야 하는 수동 테스트와, 기계가 직접 검증해주는 자동화 된 테스트에 대한 차이를 인지한다.

  • 단위 테스트, 통합 테스트, 인수 테스트와 같은 자동화된 테스트 기법 중, 가장 기본이 되는 단위 테스트에 대해 이해하고, 적용한다.

    수동화 테스트 코드 => 단위 테스트



단위 테스트란

  • 클래스 혹은 메서드와 같이, 작은 코드 단위를 독립적으로 검증하는 테스트
  • 외부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검증 속도가 빠르고, 안정적이다.

단위 테스트를 위한 도구

JUnit 5

  • 단위 테스트를 위한 프레임워크

AssertJ

  • 테스트 코드 작성을 원활하게 돕는 테스트 라이브러리
  • 개발자가 테스트를 하면서 필요하다고 상상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메소드를 제공한다.
  • 메서드 체이닝을 지원하기 때문에 좀 더 깔끔하고 읽기 쉬운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수 있다.

(* 메서드 체이닝: 여러 메서드 호출을 연결해 하나의 실행문으로 표현하는 문법 형태)

spring-boot-starter-test 의존성에 JUnit5와 AssertJ, Mockito 등이 포함되어 있다.









테스트 케이스 세분화 하기

⇒ 경계값 테스트를 활용한다. (경계값 테스트 예시)

  1. 질문하기

    ⇒ 암묵적이거나, 아직 드러나지 않은 요구사항이 있는가?


  1. 테스트 케이스 세분화 하기

    해피 케이스
    요구사항을 그대로 만족하는 케이스


    예외 케이스
    요구사항에 드러나지 않은 암묵적인 케이스



해피 케이스와 예외 케이스를 테스트하기 위해서는 경계값 테스트 가 중요하다
* 경계값 테스트 : 범위(이상, 이하, 초과, 미만), 구간, 날짜 등

⇒ 변수 x가 3 이상일때 A라는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고 가정했을 때,
경계값 3에 대한 테스트를 짜는 것이 경계값 테스트



해피 케이스 검증하기

⇒ 변수 x의 값을 경계값(3)으로 설정하여 테스트  
⇒ 경계값보다 큰 값(5)로 설정할 경우, 5에 대해서는 만족하는데, 3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예외 케이스 검증하기

⇒ 변수 x의 값을 경계값과 가까운 수(2)로 설정하여 테스트  
⇒ 경계값과 먼 수로 설정하여 테스트하는 것은 큰 효용성이 없기 때문이다.  










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기



학습 목표 :

  • 테스트 할 때마다 다른 값에 의존하는 코드 를 구분하고, 분리하는 방법을 익힌다.
  • 실행 시점에 따라 테스트의 결과가 달라지는 코드에서, 실행 시점에 의존하지 않는 코드로 변경한다.
  • 실행 시점을 특정하여, 실행 시점에 따라 해피 케이스와 예외 케이스를 분리하고, 경계값 테스트를 통해 로직을 검증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




테스트 하기 어려운 코드/ 쉬운 코드

테스트 하기 어려운 코드란


  1. 테스트 할 때마다 다른 값에 의존하는 코드

즉, 외부 세계에서 들어오는 값이 테스트 대상에 의존하는 경우를 말한다.

( Ex: 현재 날짜 / 시간, 랜덤 값, 전역 변수/함수, 사용자 입력 등)


  1. 외부 세계에 영향을 주는 코드

테스트 대상이 외부 세계에 영향을 주고, 따라서, 그것에 의존에 있는 코드

(Ex: 표준 출력, 메시지 발송, 데이터베이스 조작 등)


테스트 하기 쉬운 코드란


테스트 하기 쉬운 코드란 같은 입력에 항상 같은 결과를 반환 하는 코드이다.

즉, 외부 세계와 단절된 형태




좋은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하기 어려운 코드와 쉬운 코드를 구분하고, 분리할 수 있어야 한다.





테스트 하기 쉬운 코드 연습



📌 실행 시점이 다르다고, 테스트에 실패하지 않기


다음 코드는 주문 요청이 들어온 시간이 주문 가능한 시간인 경우, Order 객체를 생성하여 반환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 예외를 던지는 기능을 제공하는 코드이다.

@Getter
public class CafeKiosk {

	private static final LocalTime SHOP_OPEN_TIME = LocalTime.of(10,0);
	private static final LocalTime SHOP_CLOSE_TIME = LocalTime.of(22,0);

	private final List<Beverage> beverageList = new LinkedList<>();

	public void addBeverage(Beverage beverage, int count) {
			 ...
		}
	}

	public void addBeverage(Beverage beverage) {
		...
	}

	public void removeBeverage(Beverage beverage){
		...
	}

	public Order createOrder(){
		LocalDateTime now = LocalDateTime.now();
		LocalTime currentTime = now.toLocalTime();

		if (currentTime.isBefore(SHOP_OPEN_TIME) || currentTime.isAfter(SHOP_OPEN_TIM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문 시간이 아닙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return new Order(now, beverageList);
	}
}


이 기능의 검증을 위한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Test
	@DisplayName("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하기 전의 테스트 코드")
	void createOrder(){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Americano americano = new Americano();
		cafeKiosk.addBeverage(americano);

		Order order = cafeKiosk.createOrder();

		assertThat(order.getBeverageList()).hasSize(1);
		assertThat(order.getBeverageList().get(0).getName()).isEqualTo("아메리카노");
	}


이 테스트 코드는 실행 시점에 따라, 테스트 결과가 달라지는 코드이다.

주문 가능한 시간인 오전 10시와 오후 10시 사이에 테스트를 실행하면 테스트에 성공하지만,

이외의 시간에 테스트를 실행하면 createOrder() 메서드는 예외를 던지므로 테스트에 실패한다.



즉, createOrder() 메서드는 테스트 하기 어려운 코드이다.

따라서, createOrder() 메서드에서 테스트 하기 어려운 영역을 구분하고, 분리하여

테스트 하기 쉬운 코드로 설계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금의 createOrder() 메서드는 메서드 내부에서 현재 시간을 받아 처리하고 있다.

테스트를 어렵게 만드는 영역(메서드 내부에서 LocalDateTime.now()를 통해 현재 시간을 받는 영역) 을 구분했으니, 이 영역을 분리하기 위해 현재 시간을 함수 외부에서 받도록 createOrder() 메서드를 재 설계 해보자.



테스트 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한 createOrder() 메서드는 다음과 같다.

	public Order createOrder(LocalDateTime now){
		LocalTime currentTime = now.toLocalTime();
		if (currentTime.isBefore(SHOP_OPEN_TIME) || currentTime.isAfter(SHOP_OPEN_TIME))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주문 시간이 아닙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return new Order(now, beverageList);
	}


이 기능의 검증을 위한 테스트 코드는 다음과 같다.

@Test
	@DisplayName("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한 후의 테스트 코드 (해피 케이스)")
	void createOrderInTimeWithCurrentTime(){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Americano americano = new Americano();
		cafeKiosk.addBeverage(americano);

		Order order = cafeKiosk.createOrder(LocalDateTime.of(2023,05,24,10,0));

		assertThat(order.getBeverageList()).hasSize(1);
		assertThat(order.getBeverageList().get(0).getName()).isEqualTo("아메리카노");
	}

	@Test
	@DisplayName("테스트하기 어려운 영역을 분리한 후의 테스트 코드 (예외 케이스)")
	void createOrderOutTimeWithCurrentTime(){
		CafeKiosk cafeKiosk = new CafeKiosk();
		Americano americano = new Americano();
		cafeKiosk.addBeverage(americano);

		assertThatThrownBy(() -> cafeKiosk.createOrder(LocalDateTime.of(2023,05,24,22,1)))
			.isInstanceOf(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hasMessage("주문 시간이 아닙니다. 관리자에게 문의하세요.");
	}


재 설계한 createOrder() 메서드는 실행 시점에 의존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실행 시점에 따라 해피 케이스와 예외 케이스를 분리하고, 경계값 테스트를 통해
임의의 시간이 주어졌을 때 내가 짠 코드가 의도한대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테스트 과정에 있어서는 현재 테스트를 실행하고 있는 시간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임의의 시간이 주어졌을 때, 내가 작성한 로직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검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테스트 코드 상에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값에 의존하지 않고,
해피 케이스 / 예외 케이스에 따라 원하는 값을 넣어 테스트할 수 있도록 설계를 변경하는 것이 중요하다.


😊 테스트 하기 어려운 영역을 외부로 분리할 수록 테스트 가능한 코드는 많아진다.






TDD란

✅ TDD : Test Driven Development

  • 프로덕션 코드보다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하여 테스트가 구현 과정을 주도하도록 하는 방법론

img_1.png






img.png

  • RED :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를 먼저 작성한다.

  • GREEN: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 위한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한다.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딩으로)

  • REFACTOR : 테스트 통과를 유지하며, 구현 코드를 개선한다.




TDD 실습

  1. [TDD 1단계] RED : 실패하는 테스트 코드 먼저 작성한다.

  2. [TDD 2단계] GREEN : 테스트를 통과하기 위한 최소한의 코딩으로 테스트 코드를 성공시키기 위한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한다.

  3. [TDD 3단계] REFACTORING : 테스트 통과를 유지하며(초록 불을 유지하며), 구현 코드를 개선한다.

  4. [TDD 3단계] REFACTORING : 기능을 보장하는 테스트 코드가 있으므로, 테스트 통과를 유지하며 과감한 리팩토링을 시도해볼 수 있다.



TDD의 핵심 가치


💡 피드백



(선) 기능 구현, (후) 테스트 작성 방식의 단점

  • 테스트 자체의 누락 가능성이 생긴다.
  • 특정 테스트 케이스( → 해피 케이스)만 검증할 가능성이 있다.
  • 잘못된 구현을 다소 늦게 발견할 가능성이 있다.


(선) 테스트 작성, (후) 기능 구현 방식의 장점

  • 복잡도가 낮은, 테스트 가능한 코드로 프로덕션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한다.
  • 쉽게 발견하기 어려운 엣지 케이스를 놓치지 않도록 해준다.
  • 구현에 대한 빠른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
  • 과감한 리팩토링이 가능해진다.


img_2.png



TDD란 ⇒ 클라이언트 관점에서의 피드백을 주는 Test Driven









문서로서의 테스트 코드


  • 프로덕션 기능을 설명하는 문서로서의 테스트 코드

  • 다양한 테스트 케이스를 통해 프로덕션 코드를 이해하는 시각과 관점을 보완할 수 있다.

  • 어느 한 사람이 과거에 경험했던 고민의 결과물을 팀 차원으로 승격 시켜서, 모두의 자산으로 공유할 수 있다.



DisplayName을 섬세하게


(1) → 음료 1개 추가 테스트 (x)

→ 음료를 1개 추가할 수 있다.

→ 음료를 1개 추가하면 주문 목록에 담긴다. 👍🏻



📌 명사의 나열보다는 문장으로 (A이면 B이다. A이면 B가 아니고 C이다.)

📌 테스트 행위에 대한 결과까지 기술하기




(2)

→ 특정 시간 이전에 주문을 생성하면 실패한다.

→ 영업 시작 시간 이전에는 주문을 생성할 수 없다. 👍🏻



📌 도메인 용어를 사용하여 한층 추상화 된 내용을 담기
⇒ 메서드 자체의 관점보다 도메인 정책 관점으로


📌 테스트의 현상을 중점으로 기술하지 말 것

  ⇒ “실패한다”는 것은 테스트 하고자 하는 내용과는 무관하다.
  ⇒ 성공한다 / 실패한다와 같은 표현을 피하고, 도메인 용어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BDD 스타일로 작성하기

💡 BDD, Behavior Driven Development

  • TDD에서 파생된 개발 방법
  • 함수 단위의 테스트에 집중하기보다, 시나리오에 기반한 테스트 케이스 자체에 집중하여 테스트한다.
  • 개발자가 아닌 사람이 봐도 이해할 수 있을 정도의 추상화 수준을 권장한다.



- Given / When / Then


Given : 시나리오 진행에 필요한 모든 준비 과정 (객체, 값, 상태 등)

When : 시나리오 행동 진행

Then : 시나리오 진행에 대한 결과 명시/검증



=================================



어떤 환경에서 (Given)

어떤 행동을 진행했을 때(When),

어떤 상태 변화가 일어난다(Then).


⇒ DisplayName에 명확하게 작성할 수 있다.







Persistence Layer 테스트




Layered Architecture ⇒ 관심사의 분리

img_3.png




✅ 통합 테스트

  • 여러 모듈이 협력하는 기능을 통합 적으로 검증하는 테스트
  • 일반적으로 작은 범위의 단위 테스트 만으로는 기능 전체의 신뢰성을 보장할 수 없다.
  • 풍부한 단위 테스트 & 큰 기능 단위를 검증하는 통합 테스트



Persistence Layer Test


✅ Persistence Layer를 테스트 하는 테스트 코드는 왜 작성해야 할까?

신뢰성 확보

  • 테스트 코드를 작성함으로써 Persistence Layer의 기능을 신뢰할 수 있다.
  • 코드가 예상한 대로 동작하는지 확인하고, 잠재적인 버그나 문제를 미리 발견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실제 운영 환경에서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변경 사항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요구 사항이나 데이터 구조는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다.

  • Persistence Layer를 테스트하는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면, 변경 사항에 따른 영향을 파악하고 새로운 요구 사항을 충족시키는지 확인할 수 있다.

    ⇒ 이를 통해 변경 사항이 기존 기능에 영향을 미치거나 예기치 않은 동작을 일으키는지 감지할 수 있다.



Persistence Layer Test 는 단위 테스트에 가까운 성격을 가지고 있다.





✅ Persistence Layer Test를 위한 어노테이션

@SpringBootTest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통합 테스트를 위해 사용되는 어노테이션

  • 애플리케이션 컨텍스트를 로드하고 모든 빈을 생성하여 테스트 환경을 설정한다.
  • 일반적으로 스프링 애플리케이션의 전체적인 구성을 테스트하고 외부 종속성과의 통합을 확인하는 데 사용된다
  • @SpringBootTest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테스트에 필요한 모든 구성 요소를 로드하여 실제 환경과 유사한 테스트 환경을 만들 수 있다.


@DataJpaTest

JPA 기반의 Persistence Layer를 테스트하는 데 사용된다.

  • 데이터 액세스 계층에 대한 테스트를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구성을 제공한다.
  • 테스트를 위해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며, Spring Data JPA Repository와 관련된 Bean들을 생성하고, Persistence Layer 테스트를 위한 트랜잭션 관리를 자동으로 처리한다.

@SpringBootTest는 애플리케이션의 전체 컨텍스트를 로드하므로 테스트 수행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는 반면, @DataJpaTest는 필요한 최소한의 Bean들만 로드하므로 테스트 수행 시간이 더 짧을 수 있다.





test double

  • Dummy :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깡통 객체
  • Fake : 단순한 형태로 동일한 기능은 수행하나, 프로덕션에서 쓰기에는 부족한 객체
    (Ex: FakeRepository)
  • Stub : 테스트에서 요청한 것에 대해 미리 준비한 결과를 제공하는 객체
    그 외에는 응답하지 않는다.
  • Spy : Stub이면서, 호출된 내용을 기록하여 보여줄 수 있는 객체
    일부는 실제 객체처럼 동작시키고 일부만 Stubbing 할 수 있다.
  • Mock : 행위에 대한 기대를 명세하고, 그에 따라 동작하도록 만들어진 객체



📌 Stub ? Mock?

Stub → 상태 검증(State Verification)

Mock → 행위 검증(Behavior Verification)





우리 시스템이 아닌 외부 시스템을 사용하여 개발할 때, 외부 시스템은 잘 동작할 것이라는 가정 하에 테스트를 진행한다.
(⇒ 어차피 외부 시스템의 동작을 우리가 테스트할 수 없음. )


‼ 외부 시스템에서 진행되는 동작은 Mocking 처리한다.
img_4.png)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팁

✅ 한 문단에 한 주제

  • 하나의 테스트에서는 한 가지 목적의 검증만 수행한다.

(⇒ DisplayName을 한 문장으로 치환할 수 있는가)

(⇒ 분기문, 반복문 지양)


✅ 완벽하게 제어하기

  • 테스트를 하기 위한 환경을 조성할 때, 모든 조건을 완벽하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 테스트 할 때마다 다른 값에 의존하는 코드를 구분하고, 분리한다.)

✅ 테스트 환경의 독립성을 보장하자.

  • 테스트 환경 : 테스트 행위를 하기 위한 이전 준비 과정
  • 테스트 환경에서 다른 API를 사용하는 것을 지양하여 테스트 간 결합도가 생기는 것을 피하고, 독립성을 보장해야 한다.
  • 아래 예시는 createOrder 메서드를 테스트 하는 상황인데, 이와 관련이 없는 deductQuantity() 사용하고 있다. ⇒ 테스트 하려는 환경과 또 다른 맥락(deductQuantity())을 고려해야 한다.

img_5.png

✅ 테스트 간 독립성을 보장하자.

  • 두 가지 이상의 테스트가 자원을 공유하지 않아야 한다.

  • 테스트 간 실행 순서에 따라 테스트의 성공/실패가 달라지면 안된다.

    (⇒ 테스트의 실행 순서와 테스트의 결과는 무관해야 한다.)


✅ 한 눈에 들어오는 Test Fixture 구성하기

  • Fixture: 고정물, 고정되어 있는 물체

  • Test Fixture : 테스트를 위해 원하는 상태로 고정 시킨 일련의 객체 (= given 절에서 생성한 모든 객체들)

  • @BeforeEach, @BeforeAll 지양 ⇒ 테스트 간 결합도가 생겨 Test Fixture 수정 시 모든 테스트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 이것이 어떤 결과를 불러올지 예상하기 힘들다.

    ⇒ 각 테스트를 이해하기 위해 @BeforeEach, @BeforeAll 로 선언된 메소드와 테스트를 왔다 갔다 하면서 확인하게 된다. (문서로서의 테스트의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 **@BeforeEach, @BeforeAll 를 사용하기 전 고민해야 할 사항**

    1. 각 테스트 입장에서 봤을 때, 아예 몰라도 테스트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문제가 없는가?
    2. 수정해도 모든 테스트에 영항을 주지 않는가?

    위 두 조건에 모두 만족하는 경우에만 @BeforeEach, @BeforeAll 를 사용한다.


✅ Test Fixture 클렌징

deleteAll VS deleteAllInBatch

  • deleteAllInBatch (성능 Win🔆) 테이블의 전체 행을 한번에 삭제하는 메소드로, 연관 관계가 있는 테이블 간의 삭제 순서를 고려하지 않으면, 무결성 제약 조건에 위배된다.
  • deleteAll 테이블의 행을 하나씩 삭제한다. 이때, 연관 관계를 맺고 있는 행을 함께 삭제하긴 하지만, 테이블 간의 삭제 순서를 하지 않으면, 무결성 제약 조건에 위배된다.

하지만, 행을 하나씩 삭제하므로 deleteAllInBatch에 의해 지우는 것보다 쿼리가 훨씬 많이 나간다. (select를 통해 연관 관계가 있는지 조회 + 테이블의 행을 각각 삭제)


@ParameterizedTest

@ParameterizedTest

하나의 테스트를 값을 바꿔가면서 테스트를 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JUnit 어노테이션

⇒ 하나의 테스트 메소드로 여러 개의 파라미터에 대해서 테스트할 수 있다.

  • @ParameterizedTest를 사용하기 전의 코드

    class ProductTypeTest {
    
    	@DisplayName("상품의 타입이 재고 관련 타입인지 확인한다.")
    	@Test
    	void containsStockType(){
    	    //given
    		ProductType givenType = ProductType.HANDMADE;
    
    		// when
    		boolean result = ProductType.containsStockType(givenType);
    
    		// then
    		assertThat(result).isFalse();
    	}
    
    	@DisplayName("상품의 타입이 재고 관련 타입인지 확인한다.")
    	@Test
    	void containsStockType2(){
    	    //given
    		ProductType givenType = ProductType.BAKERY;
    
    		// when
    		boolean result = ProductType.containsStockType(givenType);
    
    		// then
    		assertThat(result).isTrue();
    	}
    }
  • @ParameterizedTest를 사용한 코드

    class ProductTypeTest {
    	// @ParameterizedTest를 활용한 테스트
    		@DisplayName("상품 타입이 재고 관련 타입인지를 체크한다.")
    		@CsvSource({"HANDMADE, false", "BOTTLE, true", "BAKERY, true"})
    		@ParameterizedTest
    		void test(ProductType type, boolean expected){
    		    // when
    			boolean result = ProductType.containsStockType(type);
    	
    		    // then
    			assertThat(result).isEqualTo(expected);
    		}
    }

@DynamicTest

@DynamicTest

Runtime 중에 생성되는 동적 테스트이며, given 안에서 when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를 가진다.

  • Junit5부터 지원하며, 시나리오 테스트라고 부르기도 한다.
  • 실제 서비스와 같은 흐름으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있다.

✅ 테스트 수행도 비용이다. 환경 통합하기

@ActiveProfiles("test")
@SpringBootTest
public abstract class IntegrationTestSupport {
}

위와 같은 환경에서 테스트하고자 하는 테스트 클래스에서 IntegrationTestSupport 클래스를 상속하여 사용한다.


✅ private 메서드의 테스트는 어떻게 하나요?

private 메서드를 테스트하고 싶은 욕망이 생긴다면,
객체를 분리할 시점인가? 라는 질문을 던져보아야 한다.

⇒ private 메서드를 테스트 할 필요가 없다.

⇒ private 메서드를 호출하는 public 메서드를 테스트 하는 과정에서 private 메서드가 검증되기 때문이다.

⇒ 그럼에도 private 메서드를 테스트하고 싶다는 생각이 강하게 든다면, 이는 private 메서드의 책임이 크다는 이야기이므로 별도의 객체로 분리해야 한다는 신호가 될 수 있다.


✅ 테스트에서만 필요한 메서드가 생겼는데 프로덕션 코드에서는 필요 없다면?

만들어도 된다. 하지만 보수적으로 접근하기!

⇒ 기본적으로는 테스트 코드에서만 사용하는 코드는 지양하는 것이 맞지만, 어떤 객체가 마땅히 가져도 되는 행위라고 생각이 들면서, 미래에도 충분히 사용될 수 있는 성격의 메서드는 만들어도 된다.

About

No description, website, or topics provided.

Resources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

Langu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