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역 취수원 전체에서 망간이 검출
* 12개소의 원수 평균농도는 먹는물 수질기준(0.05mg/L이하) 상회 - 취수원이 호소수인 운문(정) 등 4개소는 동절기 전도(Turn-over)시점 등에는 고농도(0.4mg/L이상) 발생
- 인천 적수 사태를 계기로 사회적 이슈로 대두
- 데이터 융합형 예측 지표를 개발하여 하이브리드 AI 모형 개발
정확성 | 최대 오차 50%(1m ↑) 이상 | 👉 | 오차 10%(10cm↓) 이내 |
신속성 | 실제 강우 상황 예측 불가 | 👉 | 3시간 ~ 6시간 사전 예측 |
표준화 | 도시/지역별 특성 미고려 | 👉 | 지역특성 3단계로 표준화 |
- 도시 하천의 특성별로 댐-하천-강우-해양 영향 인자를 구분하는 머신러닝 학습 방식으로 주요 지점별 수위를 예측
- 주암댐/대청댐 및 화순 정수장
- 수심, 수온, 용존산소, 전기전도도, 저수위, 평균기온, 최대기온, 최소기온, 풍속(2009 ~ 2019)
- 화순(정) 원수 망간 농도, 주암댐 수심별 수질, 수문, 기상
- 밀도 성층 변화 PEA(Potential Energy Anomaly)
- 수층을 완전 혼합 시키는데 필요한 단위 체적당 일인데 수층의 현재 위치에너지와 수층이 수직적으로 완전히 혼합되었을 경우의 위치 에너지 차이
- 데이터 일관성을 유지하고 신뢰할 수 잇는 데이터 확보
* Raw, 제거, Mean/Median, Zero or Frequent, K-nn Imputation, MICE, Deep Learning 등 - 오결측 값이 다른 데이터와 관계가 있는지 확인 후, 전통적 방식 또는 신규 방식의 선택 적용하여 데이터 보간
- 과거자료(Sequence length)를 고려한 정확성 검토
- 취수장 유입을 고려한 일별 예측으로 세분화(대청)
- 실 예보(예측) 활용을 위한 다수 모형 대상의 Ensemble 검토(대청)
- 적용 기술의 표준화
- (성과목표 달성) 0.45 (1일) -> 0.8 (3일 이상) 확보(주암 기준) -> 대청 확장
- (성과) 논문1, 학술발표2, 실용화(컨설팅1, 멘토링1), SW등록(1, 추진중)
- (기타) K-water WQE 시스템 내 반영 추진 (물환경처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