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ked from kimjeon-il/Victoria-2-CWE-KOR
-
Notifications
You must be signed in to change notification settings - Fork 0
/
Copy path0001_middle_east.csv
We can make this file beautiful and searchable if this error is corrected: Illegal quoting in line 5.
164 lines (164 loc) · 52.9 KB
/
0001_middle_east.csv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CODE;ENGLISH;FRENCH;GERMAN;POLISH;SPANISH;HUNGARIAN;CZECH;HUNGARIAN;DUTCH;PORTUGUESE;RUSSIAN;FINNISH;;x;;;;;;;;;;;;;;;;
capital_of_israel_title;성지;The Holy City;;;;;;;;x;;;;;;;;;;;;;
capital_of_israel_desc;요르단이 중동 전쟁에서 요르단강 서안과 동예루살렘을 불법적으로 점령했을 때, 그들은 성지에서의 유대인의 기도를 막음으로써 하늘에 죄를 범했습니다. 더 나쁜 것은, 그들이 솔로몬 신전의 유일한 흔적인 서쪽 성벽 밖에 빈민가를 조성했다는 것입니다. 역사는 예루살렘이 분열되면 유대인들의 학살과 국가적 굴욕도 따라온다는 사실을 알려줍니다. 유럽의 집단학살 같은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할 것입니다. $COUNTRY$은(는) 예루살렘을 분단되지 않는 영원한 수도로 선포해야 합니다.;When Jordan unlawfully seized the West Bank and East Jerusalem following the Arab-Israeli War, they committed a crime against Heaven by blocking the Jewish people from prayer at its holy sites. Even worse, they have created a slum outside the Western Wall, the only remnant of the Temple of Solomon. History shows us that, while Jerusalem is divided, massacres of the Jews and national humiliation is unavoidable. Like the pogroms of Europe, we will ensure this history does not repeat - we have our strength through the State of $COUNTRY$, and must proclaim Jerusalem our undivided, eternal capital.;;;;;;;;x;;;;;;;;;;;;;
EVT_8000319_NAME;이슬람 원리주의자 알제리 내전 승리;Islamist Victory in the Algerian Civil War;;;;;;;;x;;;;;;;;;;;;;
EVT_8000319_DESC;알제리 내전은 일차적으로 정부와 이슬람 반군 간의 내전입니다. 반군은 나뉘었지만, 이들 가운데 승리한 집단은 다른 파벌들과 달리 이슬람국가 창설을 추구했고, 정부를 압박하는 대신 불안정하게 만들고 전복시켜 성소를 '정화'하려 했습니다. 그들의 구호는 "합의도, 휴전도, 대화도 없다"였습니다. 이들은 전반적으로 불안한 분위기를 조성하고 테러범들을 고용해 보안군은 물론 민간인을 겨냥했습니다. 이를 통해 자신들의 영토를 통제하면서 서방세계에 테러를 가하고 모든 이슬람 세계를 하나로 묶을 계획입니다.;The Algerian Civil War was primarily a war between the government and Islamist rebels. The opposition was fractured, but the ultimately victorious group, unlike the other factions, pursued the creation of an Islamic state and did not seek to pressure the government into concessions but to destabilise and overthrow it, to "purge the land of the ungodly." Their slogan inscribed on all communiques was: "no agreement, no truce, no dialogue." The group created an atmosphere of general insecurity and employed terrorism, targeting not only security forces but civilians. Now, in control of their own territory, they plan to bring terror to the West and unite all Islam.;;;;;;;;x;;;;;;;;;;;;;
EVT_8000319_A;그리고 그것은 정확히 우리가 할 일이다.;And that is precisely what we will do;;;;;;;;x;;;;;;;;;;;;;
EVT_8007700_NAME;인구학적 위기;Demographic crisis;;;;;;;;;;x
EVT_8007700_DESC;이스라엘은 건국 이후 스스로를 '유대인들의 민주국가'로 규정해왔습니다. 하지만 유대인들은 국내에서도 소수민족으로 전락하면서 둘은 갈등을 빚었고, 이제는 매우 어려운 결정을 내려야 할 때입니다. 유대인으로 남을까요, 아니면 민주적으로 지낼까요?;Since its establishment, Israel has been defined as a "Jewish and democratic state." However, the two have come at odds with each other. Jews are now a minority in their own country, leading to a very difficult decision: shall we stay Jewish, or shall we stay democratic?;;;;;;;;;;x
EVT_8007700_A;민주주의.;Democratic;;;;;;;;;;x
EVT_8007700_B;유대인.;Jewish;;;;;;;;;;x
EVT_8007700_C;2국체제를 시행할 때다.;It is time for a two-state solution;;;;;;;;;;x
EVT_8007700_D;소련에 명령복종을 거부하는 사람을 불러들이도록 부탁한다.;Beg the Soviets to let in the refuseniks;;;;;;;;;;x
EVT_8007609_NAME;이츠하크 벤즈비;Death of Yitzhak Ben Zvi;;;;;;;;;;X
EVT_8007609_DESC;이스라엘이 독립을 쟁취했을 때, 벤즈비는 1948년 5월 14일 독립선언서의 서명자 중 하나였습니다. 그는 마파이당원으로서 제1대, 제2대 국회에서 근무했습니다. 그리고 1952년 12월 8일 이스라엘의 대통령으로 선출돼 1952년 12월 16일 취임했으며, 죽을 때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했습니다. 그는 지금까지 대통령직을 가장 오랫동안 유지한 사람입니다.;When Israel gained its independence, Ben-Zvi was among the signatories of its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n 14 May 1948. He served in the First and Second Knesset for the Mapai party. He was elected President of Israel on 8 December 1952, assumed office on 16 December 1952, and continued to serve in such position until his death, being the person who held this post for the longest period of time.;;;;;;;;;;X
EVT_8007622_NAME;영국령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 해체;End of the British Mandate for Palestine;;;;;;;;;;X
EVT_8007622_DESC;영국은 국제연합에 늦어도 1948년 8월 1일까지 통치를 종료하고 싶다는 의향을 유엔에 통보했으나, 1948년 5월 14일 팔레스타인에 대한 위임통치를 종료하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발표했습니다. 이에 대해 해리 S. 트루먼 대통령은 3월 25일 '불행히도 지금은 평화적인 방법으로 분할안을 수행할 수 없다는 사실이 명백해졌다'며 분할 대신 국제연합의 신탁통치안을 제안했습니다. 비상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팔레스타인에서 법과 질서를 보존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 것이며, 폭력과 유혈이 성지 위로 내려올 것입니다. 결국 주민들 간의 대규모 내전이 불가피해집니다.;The British had notified the U.N. of their intent to terminate the mandate not later than 1 August 1948, However, early in 1948, the United Kingdom announced its firm intention to end its mandate in Palestine on 14 May. In response, President Harry S. Truman made a statement on 25 March proposing UN trusteeship rather than partition, stating that 'unfortunately, it has become clear that the partition plan cannot be carried out at this time by peaceful means... unless emergency action is taken, there will be no public authority in Palestine on that date capable of preserving law and order. Violence and bloodshed will descend upon the Holy Land. Large-scale fighting among the people of that country will be the inevitable result.';;;;;;;;;;X
EVT_8007622_A;분할안을 준비한다.;Let's prepare a partition plan;;;;;;;;;;X
EVT_8007623_NAME;국제연합의 팔레스타인 분할안;United Nations Partition Plan for Palestine;;;;;;;;;;X
EVT_8007623_DESC;1947년 5월 15일 국제연합은 11개국의 대표들과 함께 국제연합 팔레스타인 특별위원회를 설립했습니다. 해당 기구는 청문회를 실시하고 팔레스타인의 상황을 전반적으로 조사한 후 8월 31일에 보고서를 발표했습니다. 11월 29일, 국제연합 총회는 분할안에 대해 투표했고(기권: 10, 찬성: 33, 반대: 13), 동시에 유대계와 아랍계의 경계를 약간 조정했습니다. 분할안은 영국이 철수하는 당일부터 발효될 예정이었고, 미국과 소련 모두 결의안을 지지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투표위원이었던 아랍 연맹 소속 5개국은 이 계획에 반대표를 던졌습니다.;The UN created UNSCOP (the UN Special Committee on Palestine) on 15 May 1947, with representatives from 11 countries. UNSCOP conducted hearings and made a general survey of the situation in Palestine, and issued its report on 31 August. On 29 November, the UN General Assembly voted 33 to 13, with 10 abstentions, in favour of the Partition Plan, while making some adjustments to the boundaries between the two states proposed by it. The division was to take effect on the date of British withdrawal. Both the U.S. and the Soviet Union supported the resolution. The five members of the Arab League who were voting members at the time voted against the Plan.;;;;;;;;;;X
EVT_8007623_A;재검토한다.;Review the options;;;;;;;;;;X
EVT_8007624_NAME;이스라엘 독립;Independent Israel;;;;;;;;;;X
EVT_8007624_DESC;영국령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이 해체되면서 영국이 떠난 자리에 유대인들이 독립국을 결성했습니다.;With the end of British Mandate in Palestine, the British are leaving and the independent state of Israel is formed.;;;;;;;;;;X
EVT_8007624_A;알았다.;OK;;;;;;;;;;X
EVT_8007625_NAME;유대인 반란;Jewish revolt;;;;;;;;;;X
EVT_8007625_DESC;영국은 국제연합의 분할안 권고에도 불구하고 국경 분쟁을 막기 위해 팔레스타인에 아랍인 단일국가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긴장감이 너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한편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무기를 들기로 결심했습니다.;In spite of the recommendations of the UN Partition Plan, the British decided to set up a single Arab state in Palestine, to prevent quarelling over borders. However, the tensions between Jews and Arabs are far too high to bear and Jews decide to take up arms in fight for their statehood.;;;;;;;;;;X
EVT_8007625_A;알았다.;OK;;;;;;;;;;X
EVT_8007626_NAME;팔레스타인 독립;Independent Palestine;;;;;;;;;;X
EVT_8007626_DESC;영국령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이 해체되면서 영국이 떠난 자리에 아랍인들이 독립국을 결성했습니다.;With the end of British Mandate in Palestine, the British are leaving and the independent state of Palestine is formed.;;;;;;;;;;X
EVT_8007626_A;알았다.;OK;;;;;;;;;;X
EVT_8007627_NAME;아랍인 반란;Arab revolt;;;;;;;;;;X
EVT_8007627_DESC;영국은 국제연합의 분할안 권고에도 불구하고 국경 분쟁을 막기 위해 팔레스타인에 아랍인 단일국가를 설립하기로 결정했습니다. 하지만 유대인과 아랍인 사이의 긴장감이 너무 높은 것이 문제입니다. 한편 아랍인들은 자신들의 주권을 수호하기 위해 무기를 들기로 결심했습니다.;In spite of the recommendations of the UN Partition Plan, the British decided to set up a single Jewish state in Palestine, to prevent quarelling over borders. However, the tensions between Jews and Arabs are far too high to bear and Arabs decide to take up arms in fight for their statehood.;;;;;;;;;;X
EVT_8007627_A;알았다.;OK;;;;;;;;;;X
EVT_8007640_NAME;팔레스타인 내전(1948);Palestine Civil War of 1948;;;;;;;;;;X
EVT_8007640_DESC;1948년에 발발한 팔레스타인 전쟁은 국제연합의 분할안에 관한 투표와 제1차 중동 전쟁의 공식 종전 사이에 옛 영국령 팔레스타인에서 일어난 전쟁을 말합니다. 이스라엘은 국제연합 총회 결의안을 통해 배정받은 대부분의 지역을 유지했고, 팔레스타인에 배정된 지역의 60%(자파, 리다, 라믈 지역, 갈릴리, 네게프 일부 지역, 텔아비브제리아 도로와 요르단강 서안의 일부 지역) 정도를 장악했습니다. 트란스요르단은 요르단강 서안의 나머지 지역을 장악하여 군정에 들어갔고, 이집트군은 가자지구를 장악했습니다.;The 1948 Palestine war refers to the war that occurred in the former British Mandate of Palestine between the United Nations vote on the partition plan and the official end of the first Arab-Israeli war. At the issue of the war, the State of Israel kept most of the area that had been allocated by the UN General Assembly Resolution. Israel also took control of almost 60 percent of the area allocated to the proposed Arab state, including the Jaffa, Lydda and Ramle area, Galilee, some parts of the Negev, a wide strip along the Tel-Aviv-Jerusalem road and some territories in the West Bank. Transjordan took control of the remainder of the West Bank, putting it under military rule, and the Egyptian military took control of the Gaza Strip.;;;;;;;;;;X
EVT_8007640_A;케케묵은 갈등이다.;The conflict was long coming;;;;;;;;;;X
EVT_8007640_B;전쟁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한다.;Use all power to prevent war;;;;;;;;;;X
EVT_8007649_NAME;이스라엘 방위전력;Israeli Defense Forces;;;;;;;;;;X
EVT_8007649_DESC;이스라엘 방위군은 제2차 알리야(1904년 ~ 1914년)를 시작으로 뉴이슈브의 유대인 준군사조직에 뿌리를 둡니다. 이러한 종류의 첫 조직은 1907년 9월에 설립된 바르-기오라입니다. 제1차 세계대전 동안 하가나/이스라엘 방위군의 선봉은 영국 육군의 일부인 시온 뮬 군단과 유대인 군단이었습니다. 1920년 4월 유대인에 대한 아랍인 폭동 이후 이슈브 지도부는 전국적인 지하방위조직이 필요하다 여겼고, 같은 해 6월에 하가나를 설립했습니다.;The Israeli Defense Forces (IDF) traces its roots to Jewish paramilitary organizations in the New Yishuv, starting with the Second Aliyah (1904 to 1914). The first such organization was Bar-Giora, founded in September 1907. During World War I the forerunners of the Haganah/IDF were the Zion Mule Corps and the Jewish Legion, both of which were part of the British Army. After the Arab riots against Jews in April 1920, the Yishuv's leadership saw the need to create a nationwide underground defense organization, and the Haganah was founded in June of the same year.;;;;;;;;;;X
EVT_8007649_A;검은 깃발을 게양한다.;Raise the Ink Flag!;;;;;;;;;;X
EVT_8007650_NAME;이집트의 중동전쟁 선언;Egypt proclaims the Arab-Israeli War;;;;;;;;;;X
EVT_8007650_DESC;1948년 5월 14일, 다비드 벤구리온은 이스라엘의 독립을 선언했습니다. 몇 시간 만에 두개의 이집트 부대가 공중엄호를 받으며 남부 이스라엘로 들어갔으며, 동시에 예루살렘과 예루살렘-텔아비브 고속도로에서 전투가 벌어졌고, 이스라엘군은 두개의 아랍인 마을과 아크레시를 점령했습니다. 이집트 전투기 두대가 텔아비브를 폭격했는데, 조종사 중 한명은 총에 맞아 쓰러졌고 한명은 포로로 잡혔습니다. 아랍군은 크파르 에지온의 이스라엘 키부츠를 점령하고 주민들을 학살했습니다. 네게프와 갈릴레이에 있는 수많은 정착지들은 고립돼 아랍의 모든 공격에 노출됐음에도 자신들의 무기에만 의존해야 했습니다. 성급하게 동원된 이스라엘 육군은 아랍군의 주요 진지를 제거하고, 전진을 막고, 방어선의 빈틈을 막기 위해 공격적으로 행동해야 했습니다.;On 14 May 1948, David Ben-Gurion declared the independence of the state of Israel. Within hours, two Egyptian columns with air cover entered southern Israel, while fighting erupted in Jerusalem and on the Jerusalem-Tel Aviv highway, where Israeli forces captured two Arab villages and the city of Acre. Two Egyptian Air Force Spitfires bombed Tel Aviv. One of them was shot down and its pilot taken prisoner. Arab forces captured the Israeli kibbutz of Kfar Etzion and massacred its inhabitants. Numerous settlements in the Negev and Galilee were isolated and exposed to Arab attack on all sides, and had to rely on their own armories for defense. The hastily mobilized Israeli Army had to engage in offensive actions to remove Arab forces from key positions, block the advance of their columns, and rush to seal gaps in Israel's defenses.;;;;;;;;;;X
EVT_8007650_A;아랍 형제들과 함께 한다.;Join the Arab brothers;;;;;;;;;;X
EVT_8007650_B;전쟁에는 나가지 않는다.;Stay out of war;;;;;;;;;;X
EVT_8007651_NAME;트란스요르단의 중동전쟁 선언;Transjordan proclaims the Arab-Israeli War;;;;;;;;;;X
EVT_8007652_NAME;시리아의 중동전쟁 선언;Syria proclaims the Arab-Israeli War;;;;;;;;;;X
EVT_8007653_NAME;레바논의 중동전쟁 선언;Lebanon proclaims the Arab-Israeli War;;;;;;;;;;X
EVT_8007654_NAME;이라크의 중동전쟁 선언;Iraq proclaims the Arab-Israeli War;;;;;;;;;;X
EVT_8007655_NAME;트란스요르단-팔레스타인 연합;Union of Transjordan and Palestine;;;;;;;;;;X
EVT_8007655_DESC;팔레스타인 아랍인 대부분은 트란스요르단의 국왕 압둘라 1세의 군대에 희망을 걸었습니다. 그러나 사실 국왕은 영국령 팔레스타인 위임통치령을 가능하면 더 많이 합병하려 했으므로, 팔레스타인에 아랍인 국가를 세우려 하지 않았습니다. 아랍 연맹, 그리고 유대인 당국과 접촉하는 이중적 행동을 하기도 했습니다.;The majority of Palestinian Arab hopes lay with the Arab Legion of Transjordan's monarch, King Abdullah I, but he had no intention of creating a Palestinian Arab-run state, since he hoped to annex as much of the territory of the British Mandate of Palestine as he could. He was playing a double-game, being just as much in contact with the Jewish authorities as with the Arab League.;;;;;;;;;;X
EVT_8007655_A;팔레스타인은 우리 것이다.;Palestine is ours;;;;;;;;;;X
EVT_8007660_NAME;아랍의 중동 전쟁 승리;Total Arab victory in Arab-Israeli War;;;;;;;;;;X
EVT_8007660_DESC;아랍 국가들이 흠잡을데 없이 협력하고 팔레스타인 반군도 도움을 주면서, 아랍 연합군은 이스라엘을 쉽게 무너뜨렸습니다. 이스라엘의 꿈은 다시 꿈으로 전락했고, 아랍인 국가 팔레스타인이 세워질 것입니다.;The Arab states managed to cooperate flawlessly and, with the help of Palestinian rebels, crushed a nascent Jewish state. The possibility of creation of Israel is a dream once more and the Arab state of Palestine may now be formed.;;;;;;;;;;X
EVT_8007660_A;유대인 정착민들을 추방한다.;Expel the Jewish settlers;;;;;;;;;;X
EVT_8007660_B;정착민들을 그대로 둔다.;Let the settlers stay;;;;;;;;;;X
EVT_8007661_A;가자를 지켜낸다.;Protect Gaza;;;;;;;;;;X
EVT_8007662_NAME;유대인의 중동 전쟁 전술적 승리;Tactical Jewish victory in Arab-Israeli War;;;;;;;;;;X
EVT_8007662_DESC;처음의 기습 이후, 이스라엘군은 아랍의 진군을 쉽게 막아냈습니다. 아랍 국가들은 잘 협력하지도, 적지에서 팔레스타인 반군을 잘 활용하지도 못했습니다. 새로 독립한 이스라엘의 군대는 아랍인들을 밀어냈습니다. 국제연합의 분할안보다 넓은 땅을 유대인들에게 보상해야 합니다.;After an initial period of surprise, the Arab advance was stopped by Israeli troops. The Arab states failed to cooperate successfully or make good use of Palestinian rebels on the enemy's territory. Forces of the newly independent Israel pushed Arabs back and brought the conflict onto ethnically Arab lands. It's time to end the war and reward Jews with more land than they originally were promised by the UN Partition Plan.;;;;;;;;;;X
EVT_8007662_A;알았다.;OK;;;;;;;;;;X
EVT_8007669_NAME;팔레스타인인 탈출;Nakba - Palestinian exodus;;;;;;;;;;X
EVT_8007669_DESC;팔레스타인인 탈출은 1948년 팔레스타인 전쟁 당시 70만명이 넘는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도망치거나 쫓겨난 사건을 말합니다. 아랍인들은 동포들이 시온주의자들의 고의적인 선동과 총검으로 인해 고향을 쫓겨나거나 떠났다고 주장합니다.;The 1948 Palestinian exodus, also known as the Nakba, occurred when more than 700,000 Palestinian Arabs fled or were expelled from their homes, during the 1948 Palestine war. Arabs left because they were ordered to, and deliberately incited into panic, by their own leaders who wanted the field cleared for the 1948 war. The Arabs charge that their people were evicted at bayonet-point and by panic deliberately incited by us Zionists.;;;;;;;;;;X
EVT_8007669_A;떠나게 놔둔다.;Let them leave;;;;;;;;;;X
EVT_8007670_NAME;귀환법;Aliyah - Law of Return;;;;;;;;;;X
EVT_8007670_DESC;귀환법 5710-1950호은 1950년 7월 5일 이스라엘 의회가 제정한 법으로, 유대인들의 조상의 고국인 이스라엘에 귀환한 권리를 선언하는 동시에 그들의 이민을 용이하게 합니다. 해당 법은 다음과 같이 적습니다. '모든 유대인은 이스라엘에 올 권리가 있습니다.' 이민 문제에 대한 후속법률은 1952년 국적법에 포함돼 처리됐습니다. 1970년 이스라엘 의회는 유대인이 아닌 배우자와 가족들에게도 적용 범위를 늘리도록 개정했습니다.;The Law of Return 5710-1950 was enacted by the Knesset, Israel's Parliament, on July 5, 1950. The Law of Return declares the right of Jews to come to Israel, claimed to be their ancestral homeland, and to facilitate their immigration. The Law stated: 'Every Jew has the right to come to this country as an oleh.' Follow-up legislation on immigration matters was contained in the Nationality Law of 1952. The Law of Return was modified in 1970 to include non-Jews with a Jewish grandparent, and their spouses.;;;;;;;;;;X
EVT_8007670_A;알았다.;OK;;;;;;;;;;X
EVT_8007671_NAME;티란해협 폐쇄;Closure of Straits of Tiran;;;;;;;;;;X
EVT_8007671_DESC;1967년 5월, 나세르 $MONARCHTITLE$은(는) 소련에게서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격이 임박했다는 거짓정보를 받았습니다. 이에 나세르는 정반대의 정보에도 불구하고 1967년 5월 14일 시리아와의 공동방위협정을 이유로 전면동원을 선언했습니다. 이스라엘의 시리아 침공 위협은 아랍권 지도자들에게 심각하게 여겨졌고, 외국 관측통들은 이스라엘의 시리아 공습이 임박했다고 의심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집트에게 시나이에서 병력을 철수할 것을 요구합니다. 그렇다면 이쪽은 이스라엘을 홍해에서 폐쇄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맞습니다. 수에즈를 통제하고 있으므로 티란해협을 폐쇄할 수 있습니다.;In May 1967, $MONARCHTITLE$ Nasser received false intelligence reports from the Soviet Union that an Israeli attack on Syria was imminent. In spite of signals to the contrary, Nasser declared full mobilisation in Egypt as of 14 May 1967, citing the joint defence agreement with Syria. Israel's threats to invade Syria appeared serious to Arab leaders, and foreign observers suspected that an Israeli strike on Syria was imminent. Israel demands that we withdraw our forces from Sinai. Our next logical step is to blockade Israel from the Red Sea - while we control the Suez, we can close the Straits of Tiran.;;;;;;;;;;X
EVT_8007671_A;해협을 폐쇄한다.;Close the straits;;;;;;;;;;X
EVT_8007671_B;이스라엘의 요구에 따른다.;Obey Israel;;;;;;;;;;X
EVT_8007672_NAME;1967년의 선제공격;Pre-emptive attack of 1967;;;;;;;;;;X
EVT_8007672_DESC;$FROMCOUNTRY$이(가) 우리가 홍해로 접근하지 못하게 티란해협을 폐쇄했습니다. 이전부터 티란해협의 법적 지위는 국제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서구 강대국들과 이스라엘은 해당 해협을 국제수로로 여겼지만, 아랍인들은 자신들에게 통행을 규제할 권리가 있다고 믿었고, 이스라엘은 다른 강대국들의 지지를 받아 아랍인들의 주장은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1967년 이스라엘은 해협 폐쇄를 전쟁행위나 전쟁 정당화로 간주하겠다는 선언을 1957년에 이어 되풀이했습니다. 만약 물러서지 않는다면, 또 다른 가능성이 있습니다. 지금 방심을 노려 선제공격을 취하는 것입니다.;$FROMCOUNTRY$ has blockaded us from the Red Sea and closed the the Straits of Tiran. The Straits were regarded by the Western powers and Israel as an international waterway, but its legal status was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controversy. The Arabs believed that they had the right to regulate passage, while Israel, with the support of other major world powers, countered that the Arab claims were legally not supportable. In 1967, Israel reiterated declarations made in 1957 that any closure of the Straits would be considered an act of war, or a justification for war. However, if they do not back down, there is another possibility: we could attack now, and catch them off their guard.;;;;;;;;;;X
EVT_8007672_A;기습을 명령한다!;Order the surprise attack!;;;;;;;;;;X
EVT_8007672_B;스스로가 미끼가 될 수는 없다.;We cannot let ourselves be baited;;;;;;;;;;X
EVT_8007673_NAME;1967년의 긴장;Tensions of 1967;;;;;;;;;;X
EVT_8007673_DESC;이전부터 티란해협의 법적 지위는 국제적인 논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서구 강대국들과 이스라엘은 해당 해협을 국제수로로 여겼지만, 아랍인들은 자신들에게 통행을 규제할 권리가 있다고 믿었고, 이스라엘은 다른 강대국들의 지지를 받아 아랍인들의 주장은 법적 근거가 없다고 반박했습니다. 1967년 이스라엘은 해협 폐쇄를 전쟁행위나 전쟁 정당화로 간주하겠다는 선언을 1957년에 이어 되풀이했습니다.;The Straits of Tiran were regarded by the Western Powers and Israel as an international waterway, but its legal status was the subject of international controversy. The Arabs believed that they had the right to regulate passage, while Israel, with the support of other major world powers, countered that the Arab claims were legally not supportable. In 1967, Israel reiterated declarations made in 1957 that any closure of the Straits would be considered an act of war, or a justification for war.;;;;;;;;;;X
EVT_8007673_A;그래, 전쟁이야말로 원하던 바다!;Yes, war is what we want!;;;;;;;;;;X
EVT_8007673_B;점진적으로 줄인다.;Deescalate;;;;;;;;;;X
EVT_8007674_NAME;6일 전쟁에서의 아랍 연합;Arab coalition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74_DESC;전쟁 전날 이집트는 7개 사단(4개 보병사단, 2개 기갑사단, 1개 기계화사단), 4개 독립보병여단, 독립기갑여단 4개 등 시나이에서 약 16만명의 병력을 밀집시켰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집트, 시리아, 요르단의 동원도를 높여 이스라엘에 압박을 주려는 조치도 이어갔습니다. 시리아군은 총 7만 5천 명의 병력을 국경을 따라 집결시켰습니다. 요르단군은 국경에 5만 5천 명의 병력과 300대의 전차를 주둔시켰는데, 그 중 250대가 미국의 M48 패튼, 상당한 규모의 M113 APC, 새로운 기계화보병대대, 그리고 미국식 사관학교의 훈련을 받은 낙하산부대이며, 12개 포대와 81mm 박격포 6개 포대를 보유했습니다.;On the eve of the war, Egypt massed approximately 100,000 of its 160,000 troops in the Sinai, including all of its seven divisions (four infantry, two armoured and one mechanized), four independent infantry brigades and four independent armoured brigades. In the meantime, he continued to take actions intended to increase the level of mobilization of Egypt, Syria and Jordan, in order to bring pressure on Israel. Syria's army had a total strength of 75,000 and amassed them along the Syrian border. Jordan's army had 55,000 troops and 300 tanks along the Jordanian border, 250 of which were U.S. M48 Pattons, sizable amounts of M113 APCs, a new battalion of mechanized infantry, and a paratrooper battalion trained in the new U.S.-built school. They also had 12 battalions of artillery and six batteries of 81 mm and 120 mm mortars.;;;;;;;;;;X
EVT_8007674_A;아랍 형제들과 함께 한다.;Join the Arab brothers;;;;;;;;;;X
EVT_8007674_B;이번에는 뒤로 빠진다.;Stay out this time;;;;;;;;;;X
EVT_8007676_NAME;6일 전쟁 승리;Victory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76_DESC;이스라엘은 6일 간의 전쟁 끝에 골란고원에서의 마지막 공세를 끝냈고, 그 다음날 휴전을 체결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동예루살렘 포함), 골란고원을 점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스라엘의 영토는 3배 성장했는데, 단적으로 새 점령지의 아랍인 약 100만 명이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전략적 표면은 적어도 남쪽 300km, 동쪽 60km, 북쪽 20km의 극도로 험준한 지형까지 성장했는데, 이는 6년 뒤 욤키푸르 전쟁에서 유용하게 쓰일 안보 자산입니다.;Historically, after six days of the conflict, Israel had completed its final offensive in the Golan Heights, and a ceasefire was signed the day after. Israel had seized the Gaza Strip, the Sinai Peninsula, the West Bank of the Jordan River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Golan Heights. Overall, Israel's territory grew by a factor of three, including about one million Arabs placed under Israel's direct control in the newly captured territories. Israel's strategic depth grew to at least 300 kilometers in the south, 60 kilometers in the east, and 20 kilometers of extremely rugged terrain in the north, a security asset that would prove useful in the Yom Kippur War six years later.;;;;;;;;;;X
EVT_8007676_A;평화의 때다.;It is time for peace;;;;;;;;;;X
EVT_8007677_NAME;6일 전쟁 패배;Defeat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77_DESC;이스라엘은 6일 간의 전쟁 끝에 골란고원에서의 마지막 공세를 끝냈고, 그 다음날 휴전을 체결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동예루살렘 포함), 골란고원을 점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스라엘의 영토는 3배 성장했는데, 단적으로 새 점령지의 아랍인 약 100만 명이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전략적 표면은 적어도 남쪽 300km, 동쪽 60km, 북쪽 20km의 극도로 험준한 지형까지 성장했는데, 이는 6년 뒤 욤키푸르 전쟁에서 유용하게 쓰일 안보 자산입니다.;Historically, after six days of the conflict, Israel had completed its final offensive in the Golan Heights, and a ceasefire was signed the day after. Israel had seized the Gaza Strip, the Sinai Peninsula, the West Bank of the Jordan River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Golan Heights. Overall, Israel's territory grew by a factor of three, including about one million Arabs placed under Israel's direct control in the newly captured territories. Israel's strategic depth grew to at least 300 kilometers in the south, 60 kilometers in the east, and 20 kilometers of extremely rugged terrain in the north, a security asset that would prove useful in the Yom Kippur War six years later.;;;;;;;;;;X
EVT_8007677_A;아랍세계 전체의 패배다.;It is defeat of the whole Arab world;;;;;;;;;;X
EVT_8007678_NAME;6일 전쟁 패배;Defeat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78_DESC;이스라엘은 6일 간의 전쟁 끝에 골란고원에서의 마지막 공세를 끝냈고, 그 다음날 휴전을 체결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동예루살렘 포함), 골란고원을 점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스라엘의 영토는 3배 성장했는데, 단적으로 새 점령지의 아랍인 약 100만 명이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전략적 표면은 적어도 남쪽 300km, 동쪽 60km, 북쪽 20km의 극도로 험준한 지형까지 성장했는데, 이는 6년 뒤 욤키푸르 전쟁에서 유용하게 쓰일 안보 자산입니다.;"Historically, after six days of the conflict, Israel had completed its final offensive in the Golan Heights, and a ceasefire was signed the day after. Israel had seized the Gaza Strip, the Sinai Peninsula, the West Bank of the Jordan River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Golan Heights. Overall, Israel's territory grew by a factor of three, including about one million Arabs placed under Israel's direct control in the newly captured territories. Israel's strategic depth grew to at least 300 kilometers in the south, 60 kilometers in the east, and 20 kilometers of extremely rugged terrain in the north, a security asset that would prove useful in the Yom Kippur War six years later.;;;;;;;;;;X
EVT_8007678_A;아랍세계 전체의 패배다.;It is defeat of the whole Arab world;;;;;;;;;;X
EVT_8007679_NAME;6일 전쟁 패배;Defeat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79_DESC;이스라엘은 6일 간의 전쟁 끝에 골란고원에서의 마지막 공세를 끝냈고, 그 다음날 휴전을 체결했습니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 시나이반도, 요르단강 서안(동예루살렘 포함), 골란고원을 점령했습니다. 전반적으로, 이스라엘의 영토는 3배 성장했는데, 단적으로 새 점령지의 아랍인 약 100만 명이 이스라엘의 직접적인 지배하에 놓였습니다. 이스라엘의 전략적 표면은 적어도 남쪽 300km, 동쪽 60km, 북쪽 20km의 극도로 험준한 지형까지 성장했는데, 이는 6년 뒤 욤키푸르 전쟁에서 유용하게 쓰일 안보 자산입니다.;"Historically, after six days of the conflict, Israel had completed its final offensive in the Golan Heights, and a ceasefire was signed the day after. Israel had seized the Gaza Strip, the Sinai Peninsula, the West Bank of the Jordan River (including East Jerusalem), and the Golan Heights. Overall, Israel's territory grew by a factor of three, including about one million Arabs placed under Israel's direct control in the newly captured territories. Israel's strategic depth grew to at least 300 kilometers in the south, 60 kilometers in the east, and 20 kilometers of extremely rugged terrain in the north, a security asset that would prove useful in the Yom Kippur War six years later.;;;;;;;;;;X
EVT_8007679_A;아랍세계 전체의 패배다.;It is defeat of the whole Arab world;;;;;;;;;;X
EVT_8007680_NAME;6일 전쟁 승리;Victory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80_DESC;이스라엘은 선제공격을 잘못 계산했고, 아랍권 연합군은 이스라엘 영토 깊숙이 반격했습니다. 국제사회는 우리가 이스라엘을 완전히 근절할 가능성을 부정하지만, 팔레스타인 아랍인들이 고향에서 평화와 번영을 누리도록 할 수는 있습니다.;Israel has miscalculated its pre-emptive strike and the coalition of Arab forces prevailed, counterattacking deep into Israeli territory. International community denies us the possibility of eradicating Israeli state once and for all but we may at least make sure that Arabs in Palestine leave in peace and prosperity, in their own country.;;;;;;;;;;X
EVT_8007680_A;평화의 때다.;It is time for peace;;;;;;;;;;X
EVT_8007681_NAME;6일 전쟁 패배;Defeat in Arab-Israeli War of 1967;;;;;;;;;;X
EVT_8007681_DESC;우리가 선제공격을 잘못 계산한 탓에, 아랍권 연합군은 국내 영토 깊숙이 반격했습니다. 국제사회는 그들이 우리를 완전히 근절할 가능성을 부정하지만,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에 대한 경계선을 우리에게 유리하게 설정해야 합니다.;We have miscalculated our pre-emptive strike and the coalition of Arab forces prevailed, counterattacking deep into our territory. International community denies them the possibility of dealing us the final blow but we will be forced to carry out what we feared, a demarcation of Israeli and Palestinian states across lands that we deem ours.;;;;;;;;;;X
EVT_8007681_A;알았다.;OK;;;;;;;;;;X
EVT_8007682_NAME;이민자의 물결;Inflow of immigrants;;;;;;;;;;X
EVT_8007682_DESC;'사회주의 폴란드와 제국주의 이스라엘에 대한 충성심은 동시에 불가능합니다... 이민을 통해 이러한 결과에 직면하려 하는 사람은 어떠한 장애도 마주치지 않을 것입니다.'2차 세계대전 말기 대부분의 폴란드 유대인들이 이스라엘로 이주해왔습니다. 집단적으로, 그들은 점점 더 동화되고 세속화됐습니다. 폴란드에 머물렀던 유대인 대부분이 그렇게 하는데는 정치적, 직업적 이유가 있었습니다. 그들의 상황은 6일 전쟁과 1968년 폴란드 학계의 반란 이후 바뀌었는데, 이 반란에서 유대인들은 전쟁 중인 당파들에게 희생양으로 이용돼 이민을 강요받았습니다.;'Loyalty to socialist Poland and imperialist Israel is not possible simultaneously... Whoever wants to face these consequences in the form of emigration will not encounter any obstacle.'\nMost Polish Jews who claimed their nationality status at the end of World War II had emigrated from postwar Poland already. As a group, they had become increasingly assimilated and secular and had well-developed and functioning secular institutions. Of the Jews who stayed in Poland, many had political and career reasons for doing so. Their situation changed after the 1967 Arab-Israeli war and the 1968 Polish academic revolt, in which the Jews were used as scapegoats by the warring party factions and pressured to emigrate once more.;;;;;;;;;;X
EVT_8007682_A;동포들을 환영한다.;We welcome our brothers;;;;;;;;;;X
EVT_8007683_NAME;욤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X
EVT_8007683_DESC;1970년 9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의 사후, 안와르 사다트가 그 자리르 계승했습니다. 1971년 사다트는 국제연합의 중재자 군나르 자링의 제안에 따라 이스라엘이 점령지에서 철수하고 팔레스타인 반란에 대한 해결책을 약속한다면 위임통치령 해체 이후 양국간에 존재했던 전쟁 상태를 종식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러한 제안을 부인했습니다. 사다트는 이스라엘에게 제한적인 패배라도 가해 현 상태의 변화를 바랐습니다. 그는 시나이반도의 수복을 위해 '백만명의 이집트 병사들을 희생시킬 준비가 돼있다'고 선언했습니다. 1972년 말부터 이집트는 병력을 증강하기 시작했습니다.;President Gamal Abdel Nasser of Egypt died in September 1970 and was succeeded by Anwar Sadat. In 1971, Sadat, in response to an initiative by UN intermediary Gunnar Jarring, declared that if Israel committed itself to withdrawal from occupied territories and a solution for Palestinian refugess, Egypt would end the state of war that had exis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since the end of the Mandate. Israel denied this proposal. Sadat hoped that by inflicting even a limited defeat on the Israelis, the status quo could be altered. He declared that Egypt was prepared to 'sacrifice a million Egyptian soldiers' to recover its lost territory. From the end of 1972, Egypt began a concentrated effort to build up its forces.;;;;;;;;;;X
EVT_8007683_A;이번에는 우리가 이길테니, 전쟁이다!;This time we will prevail, this is WAR!;;;;;;;;;;X
EVT_8007683_B;이대로 두는 것이 좋다.;Better leave things as they are;;;;;;;;;;X
EVT_8007684_NAME;욤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X
EVT_8007684_DESC;이스라엘의 일반적인 전략은 전쟁이 임박하면 이스라엘이 선제공격을 펼친다는 선입견을 바탕으로 합니다. 이스라엘 정보국은 최악의 경우 아랍이 공격 약 48시간 전에 통보할 것으로 추정했습니다. 이번에도 아랍의 공격이 의심됐지만 확신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스라엘은 미국에게 정치적 압력을 통해 선제공격을 가하지 않겠다고 확신시켰습니다. 이는 석유수출국기구의 석유에 의존하는 다른 선진국들이 이들의 불매운동의 위협으로 인해 이스라엘로의 군수품을 공급을 중단했고, 그 결과 미국의 군사적 지원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됐기 때문입니다. 이스라엘은 특히 양국의 관계를 위태롭게 하는 모든 것에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The Israeli general strategy was, for the most part, based on the precept that if war was imminent, Israel would launch a pre-emptive strike. It was assumed that Israel's intelligence services would give, in the worst case, about 48 hours notice prior to an Arab attack. This time, the Arab attack was suspected but the level of confidence was low. Israel assured America, under political pressure, that it would not go for a preemptive strike. This was crucial, as other developed nations, being more dependent on OPEC oil, had stopped supplying Israel with munitions under threat of an OPEC boycott. As a result, Israel was totally dependent on the United States for military resupply, and particularly sensitive to anything that might endanger that relationship.;;;;;;;;;;X
EVT_8007684_A;충격을 받았고 준비도 마치지 않았다.;We are shocked and unprepared;;;;;;;;;;X
EVT_8007685_NAME;욤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X
EVT_8007685_DESC;사다트는 이스라엘에게 제한된 패배라도 가함으로써 현 상태가 변화될 수 있기를 바랐습니다. 한편 시리아의 지도자 하페즈 알 아사드는 협상에는 관심이 없었고 골란고원 탈환만을 생각했습니다. 아사드는 6일 전쟁 이후 대규모 군사력 증강에 나섰고, 시리아를 아랍 국가들의 우세한 군사력의 일부로 만들기를 희망했습니다. 아사드는 시리아군이 이집트의 도움을 받아 이스라엘에 승리하면, 골란고원에서의 통치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아사드는 골란고원을 무력으로 되찾은 후에야 협상을 시작했는데, 이는 이스라엘에게 요르단강 서안과 가자지구를 포기하게끔 유도할 것입니다.;Sadat hoped that by inflicting even a limited defeat on the Israelis, the status quo could be altered. Hafez al-Assad, the leader of Syria, had a different view. He had little interest in negotiation and felt the retaking of the Golan Heights would be a purely military option. After the Six-Day War, Assad had launched a massive military buildup and hoped to make Syria the dominant military power of the Arab states. With Egypt's aid, Assad felt that his new army could win convincingly against Israel and thus secure Syria's role in the region. Assad only saw negotiations beginning once the Golan Heights had been retaken by force, which would induce Israel to give up the West Bank and Gaza, and make other concessions.;;;;;;;;;;X
EVT_8007685_A;아랍 국가들과 함께한다.;Join the Arab brothers;;;;;;;;;;X
EVT_8007685_B;지금은 때가 아니다.;Stay out this time;;;;;;;;;;X
EVT_8007686_NAME;욤키푸르 전쟁;Yom Kippur War;;;;;;;;;;X
EVT_8007686_DESC;전쟁은 이집트가 수에즈 운하를 성공적으로 횡단하면서 시작됐습니다. 휴전선을 넘은 이집트군은 사실상 저항을 받지 않고 시나이반도로 진격했습니다. 3일 후에야 이스라엘은 대부분의 병력을 동원했고 전황을 교착시켜 이집트의 공세를 가까스로 막아냈습니다. 시리아인는 이집트의 공세에 맞춰 골란고원에 대한 공격을 조정했고, 이스라엘이 장악한 영토를 탈환하면서 위협을 취했습니다. 하지만 사흘 만에 이스라엘군은 시리아를 전쟁 전의 휴전선으로 다시 밀어내는 데 성공했습니다.;The war began with a massive and successful Egyptian crossing of the Suez Canal. After crossing the cease-fire lines, Egyptian forces advanced virtually unopposed into the Sinai Peninsula. After three days, Israel had mobilized most of its forces and managed to halt the Egyptian offensive, settling into a stalemate. The Syrians coordinated their attack on the Golan Heights to coincide with the Egyptian offensive and initially made threatening gains into Israeli-held territory. Within three days, however, Israeli forces had managed to push the Syrians back to the pre-war ceasefire lines.;;;;;;;;;;X
EVT_8007686_A;처음의 충격에서 벗어났다.;We recover after the initial shock;;;;;;;;;;X
EVT_8007687_NAME;이스라엘 욤키푸르 전쟁 승리;Total Israeli victory in Yom Kippur War;;;;;;;;;;X
EVT_8007687_DESC;초기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집트와 시리아에서의 반격은 엄청나게 성공적이었으며, 아랍 군대들은 완패했습니다. 평화의 조건을 명기하고 6일 전쟁 이후 점령한 우리의 모든 영토를 지킬 수 있습니다.;In spite of initial setbacks, our counterattacks in Egypt and Syria proved immensely successful and Arab armies are in full rout. We are in position to dictate terms of peace and keep all of our territories that we have occupied since the Six-Day War.;;;;;;;;;;X
EVT_8007687_A;알았다.;OK;;;;;;;;;;X
EVT_8007689_NAME;이스라엘 욤키푸르 전쟁 승리;Total Israeli victory in Yom Kippur War;;;;;;;;;;X
EVT_8007689_DESC;초기 실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이집트와 시리아에서의 반격은 엄청나게 성공적이었으며, 아랍 군대들은 완패했습니다. 그들은 평화의 조건을 명기하고 6일 전쟁 이후 점령한 우리의 모든 영토를 지킬 수 있습니다.;In spite of initial setbacks, Israeli counterattacks in Egypt and Syria proved immensely successful and our armies are in full rout. They are in position to dictate terms of peace and keep all of the territories that they have occupied since the Six-Day War.;;;;;;;;;;X
EVT_8007689_A;알았다.;OK;;;;;;;;;;X
EVT_8007690_NAME;아랍 욤키푸르 전쟁 승리;Total Arab victory in Yom Kippur War;;;;;;;;;;X
EVT_8007690_DESC;처음으로 작전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아랍군은 준비하지 못한 이스라엘 방위군과 대치했고, 이스라엘 영토 깊숙이 침투했습니다. 평화의 조건을 명기하고 1967년에 잃은 영토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Beginning with the successful initial thrust, the Arab forces faced only unprepared Israeli defence forces, and went deep into Israeli territory. We are in position to dictate terms of peace and reclaim the territories lost in 1967.;;;;;;;;;;X
EVT_8007690_A;알았다.;OK;;;;;;;;;;X
EVT_8007691_NAME;아랍 욤키푸르 전쟁 승리;Total Arab victory in Yom Kippur War;;;;;;;;;;X
EVT_8007691_DESC;처음으로 작전을 성공적으로 추진한 아랍군은 준비하지 못한 이스라엘 방위군과 대치했고, 이스라엘 영토 깊숙이 침투했습니다. 그들은 평화의 조건을 명기하고 1967년에 잃은 영토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Beginning with the lamentable initial thrust, the Arab forces faced only our unprepared defence forces and went deep into our territory. They are in position to dictate terms of peace and reclaim the territories list in 1967.;;;;;;;;;;X
EVT_8007691_A;알았다.;OK;;;;;;;;;;X
EVT_8007692_NAME;욤키푸르 전쟁 정전;Yom Kippur War ceasefire;;;;;;;;;;X
EVT_8007692_DESC;10월 24일,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모든 당사국들이 정전조건 준수할 것을 재차 촉구한 결의안 339호를 통과시켰습니다. 이집트 전선에서의 격렬한 전투는 대부분 10월 26일까지 끝났지만, 휴전선을 따라 소규모의 충돌과 공습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일부 진전을 이룬 가운데 미국은 국제연합 탈퇴 결의안을 지지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이스라엘이 호응하기도 전에 이집트에서 놀라운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이스라엘과의 대화에 기꺼이 뛰어든 것입니다. 시나이반도를 비무장지대로 반환하면 이스라엘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할 것이며, 이스라엘을 공인하는 동시에 독립선언 이후 존재했던 전쟁 상태를 종식하겠다고 밝혔습니다.;On October 24, the UNSC passed Resolution 339, serving as a renewed call for all parties to adhere to the proposed ceasefire terms. Most heavy fighting on the Egyptian front ended by October 26, but clashes along the ceasefire lines and a few airstrikes took place. With some Israeli advances taking place, America threatened to support a UN withdrawal resolution, but before Israel could respond, Egyptians sent a stunning message - Egypt was willing to enter into direct talks with Israel. If we return the Sinai peninsula as a demilitarized zone, they will abandon any other claims they have on our territory, and formally recognize us and end the state of war that has existed since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X
EVT_8007692_A;공평하게 들리는군.;Land for peace, sounds fair;;;;;;;;;;X
EVT_8007692_B;죽음으로의 전쟁이다!;This is a war to the death!;;;;;;;;;;X
EVT_8007693_DESC;10월 24일,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모든 당사국들이 정전조건 준수할 것을 재차 촉구한 결의안 339호를 통과시켰습니다. 이집트 전선에서의 격렬한 전투는 대부분 10월 26일까지 끝났지만, 휴전선을 따라 소규모의 충돌과 공습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일부 진전을 이룬 가운데 미국은 국제연합 탈퇴 결의안을 지지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이스라엘이 호응하기도 전에 이집트에서 놀라운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이스라엘과의 대화에 기꺼이 뛰어든 것입니다. 시나이반도를 비무장지대로 반환하면 이스라엘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할 것이며, 이스라엘을 공인하는 동시에 독립선언 이후 존재했던 전쟁 상태를 종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그들은 우리의 제안을 받아들였습니다. 이제 그들은 시나이반도를 비무장지대로 반환할 것이며, 대신 우리는 이스라엘에 대한 모든 영유권을 포기하는 동시에 그들을 공인하고 이스라엘 독립선언 이후 존재했던 전쟁 상태를 종식할 것입니다.;On October 24, the UNSC passed Resolution 339, serving as a renewed call for all parties to adhere to the proposed ceasefire terms. Most heavy fighting on the Egyptian front ended by October 26, but clashes along the ceasefire lines and a few airstrikes took place. With some Israeli advances taking place, America threatened to support a UN withdrawal resolution, but before Israel could respond, Egyptians sent a stunning message - Egypt was willing to enter into direct talks with Israel. They have accepted our proposal: They will return the Sinai peninsula as a demilitarized zone, and we will abandon any other claims we have on their territory, and formally recognize them and end the state of war that has existed since the Israeli Declaration of Independence.;;;;;;;;;;X
EVT_8007694_NAME;욤키푸르 전쟁 정전;Yom Kippur War ceasefire;;;;;;;;;;X
EVT_8007693_DESC;10월 24일, 국제연합 안전보장이사회는 모든 당사국들이 정전조건 준수할 것을 재차 촉구한 결의안 339호를 통과시켰습니다. 이집트 전선에서의 격렬한 전투는 대부분 10월 26일까지 끝났지만, 휴전선을 따라 소규모의 충돌과 공습이 있었습니다. 이스라엘이 일부 진전을 이룬 가운데 미국은 국제연합 탈퇴 결의안을 지지하겠다고 위협했지만, 이스라엘이 호응하기도 전에 이집트에서 놀라운 메시지를 보냈습니다. 이스라엘과의 대화에 기꺼이 뛰어든 것입니다. 시나이반도를 비무장지대로 반환하면 이스라엘에 대한 영유권을 포기할 것이며, 이스라엘을 공인하는 동시에 독립선언 이후 존재했던 전쟁 상태를 종식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집트가 평화를 위해 토지를 교환하겠다고 말하자, 우리에게 모든 정전을 받아들이라는 압력이 가해지고 있습니다.;On October 24, the UNSC passed Resolution 339, serving as a renewed call for all parties to adhere to the proposed ceasefire terms. Most heavy fighting on the Egyptian front ended by October 26, but clashes along the ceasefire lines and a few airstrikes took place. With some Israeli advances taking place, America threatened to support a UN withdrawal resolution, but before Israel could respond, Egyptians sent a stunning message - Egypt was willing to enter into direct talks with Israel. While the Egyptians trade land for peace, we are being pressured to accept the ceasefire without any transfer of land..;;;;;;;;;;X
EVT_8007694_A;불공평하다.;That's unfair, but what can we do?;;;;;;;;;;X
EVT_8007695_NAME;캠프 데이비드 합의;Camp David Accords;;;;;;;;;;X
EVT_8007695_DESC;1978년 9월 17일 이집트의 안와르 엘 사다트 대통령과 이스라엘의 메나켐 베긴 총리는 캠프 데이비드에서 12일간의 비밀협상 끝에 캠프 데이비드 합의에 서명했습니다. 둘은 백악관에서 지미 카터 미국 대통령이 목격하는 가운데 서명했습니다. 두번째 합의는 1979년 이집트-이스라엘 평화조약으로 직결되었습니다. 이 합의로 인해, 사다트와 베긴은 1978년 노벨평화상을 공동수상했습니다.;The Camp David Accords were signed by Egyptian President Anwar El Sadat and Israeli Prime Minister Menachem Begin on 17 September 1978, following twelve days of secret negotiations at Camp David. The two framework agreements were signed at the White House, and were witnessed by United States President Jimmy Carter. The second of these frameworks (A Framework for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between Egypt and Israel) led directly to the 1979 Egypt-Israel Peace Treaty. Due to the agreement, Sadat and Begin received the shared 1978 Nobel Peace Prize.;;;;;;;;;;X
EVT_8007695_A;알았다.;OK;;;;;;;;;;X
EVT_8007697_NAME;제1차 아랍인 반란;The First Intifada;;;;;;;;;;X
EVT_8007697_DESC;제1차 아랍인 반란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에 반대하는 팔레스타인인들의 봉기로, 1987년 12월부터 1991년 마드리드 회의에 이르기까지 진행했습니다. 이는 12월 9일 자발리아 난민촌에서의 팔레스타인과 이스라엘 시민들의 사망사건 후에 시작됐습니다. 이스라엘 육군 트럭이 네 명의 팔레스타인인이 탑승한 차량을 들이받아 살해하자 긴장이 최고조에 달했습니다. 이번 충돌이 고의적으로 저지른 행위라는 소문은 아랍 전역으로 빠르게 퍼졌습니다. 이스라엘은 총파업과 보이콧, 시민 불복종, 광범위한 돌과 화염병 투척에 대응해 8만명의 병력을 배치해 봉기를 진압했고, '팔레스타인 뼈의 파괴'와 민간인에 대한 실탄사용정책을 채택했습니다. 이스라엘 방위군은 팔레스타인인 1,087명을 사살했고, 팔레스타인은 이스라엘 민간인 100명과 이스라엘 보안군 직원 60명을 사살했으며 이스라엘 민간인 1,400여 명과 군인 1,700여 명에게 부상을 입혔습니다. 팔레스타인은 또한 협력자로 추정되는 822명의 다른 팔레스타인인들을 살해했습니다. (사실 이스라엘 당국과 접촉한 것으로 증명된 사람은 절반도 되지 않습니다.);The First Intifada was a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the Israeli occupation of the Palestinian Territories, which lasted from December 1987 until the Madrid Conference in 1991. It began on December 9, in the Jabalia refugee camp after deaths of Palestinian and Israeli citizens. Tensions reached a boiling point when an Israeli Army truck struck a car killing four Palestinians. Rumors that the crash was a purposefully committed act quickly spread throughout Arab lands. In response to general strikes, boycotts, civil disobedience, and widespread throwing of stones and Molotov cocktails, Israel deployed 80,000 soldiers to put down the uprising, and adopted a policy of 'breaking Palestinians' bones' and using live ammunition against civilians. Israeli Defense Forces killed an estimated 1,087 Palestinians while Palestinians killed 100 Israeli civilians and 60 Israeli security forces personnel and injured more than 1,400 Israeli civilians and 1,700 soldiers. Palestinians also killed an estimated 822 other Palestinians as alleged collaborators, although fewer than half had any proven contact with the Israeli authorities.;;;;;;;;;;X
EVT_8007697_A;어떠한 저항도 분쇄한다.;Squash any opposition;;;;;;;;;;X
EVT_8007697_B;팔레스타인의 필연성을 받아들인다.;Accept inevitability of Palestinian state;;;;;;;;;;X
EVT_8007698_NAME;제2차 아랍인 반란;The Second Intifada;;;;;;;;;;;;;x
EVT_8007698_DESC;제2차 아랍인 반란은 이스라엘의 팔레스타인 점령에 반대하는 봉기입니다. 팔레스타인을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는 이스라엘을 공인한 모든 지역은 그 책임을 져야할 것이라고 선언했습니다.;The Second Intifada was a Palestinian uprising against Israeli occupation. How shall we handle the Palestinians? For their part, the Palestine Liberation Organization formally recognized Israel and committed to adopting responsibility for internal security in any areas evacuated.;;;;;;;;;;;;;x
EVT_8007698_A;봉기를 진합하고 가자에서 철수한다.;Put down the uprising, but withdraw from Gaza;;;;;;;;;;;;;x
EVT_8007698_B;팔레스타인은 있어서는 안된다!;There shall be no Palestine!;;;;;;;;;;;;;x
EVT_8007698_C;자치를 허용한다.;Grant autonomy;;;;;;;;;;;;;x
EVT_8008752_NAME;해안도로 학살;The Coastal Road Massacre;;;;;;;;;;x
EVT_8008752_DESC;팔레스타인 난민들을 대표해 남부에서 활동하는 레바논 내전 파벌 중 하나가 우리 영토에서 엄청난 테러를 저질렀습니다. 국민, 특히 국경 근처의 국민들은 정의를 요구하며, 기독교도들 또한 수니파 반군의 땅을 빼앗아 자신들에게 돌려준다면 반대하지 않을 것입니다. 빨리 행동하지 않으면 더 많은 공격이 시작될지도 모릅니다.;One of the factions of the Lebanese Civil War, operating out of the south and representing Palestinian refugees, has committed a devastating terrorist attack on our soil. Our people, especially those near the border, demand justice, and the Christian ruling faction of Lebanon would not object if we were to occupy land belonging to Sunni rebels - provided we return it, of course. Furthermore, we fear that more attacks may begin if we do not act soon.;;;;;;;;;;x
EVT_8008752_A;공격을 멈추고 기독교도들의 영토를 점령한다.;Stop the attacks and occupy the land for the Lebanese Christians;;;;;;;;;;x
EVT_8008752_B;우리 땅이 아니다.;It is not our place;;;;;;;;;;x
EVT_8008753_NAME;리타니 작전;Operation Litani;;;;;;;;;;x
EVT_8008753_DESC;팔레스타인 난민으로 이뤄진 남부 반군이 시돈을 넘어 현재 리타니강 부근을 장악한 이스라엘을 공격했습니다. 현재 계획은 이 땅을 이용해 내전 파벌을 지원하는 것입니다. 불행하게도, 그들은 아직 땅을 반환할 계획을 밝히지 않았습니다.;The rebels in the south, most of whom are Palestinian refugees, have crossed the Sidon border and attacked Israel, who is now occupying land up to the Litani River. Fortunately for us, they plan to use the land to support our faction of the civil war. Unfortunately for us, they have not revealed their plans to return the land.;;;;;;;;;;x
EVT_8008753_A;재앙이다!;This is a disaster!;;;;;;;;;;x
EVT_8008754_NAME;5.17 합의;May 17 Agreement;;;;;;;;;;x
EVT_8008754_DESC;내전이 끝난 가운데 국제연합의 지원을 받은 이스라엘이 조약을 제안했습니다. 만약 중동 전쟁 이후 지속돼온 이스라엘과의 전쟁을 종식하기로 동의한다면 이스라엘은 즉시 남부 레바논에서 철수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추가적인 외교적 발판이 마련될 것입니다.;With the civil war over, Israel, assisted by the UN, has proposed a treaty. If we agree to end our state of war with Israel, one that has lasted since the Arab-Israeli war, they will withdraw from South Lebabon. This will pave the way for further diplomacy.;;;;;;;;;;x
EVT_8008754_A;조약에 서명한다.;Sign the treaty;;;;;;;;;;x
EVT_8008754_B;그 땅은 값어치보다 더 골칫거리다.;That land is more trouble than it's worth;;;;;;;;;;x
EVT_8008755_NAME;$FROMCOUNTRY$의 조약 동의;$FROMCOUNTRY$ agrees to a treaty;;;;;;;;;;x
EVT_8008755_DESC;$FROMCOUNTRY$이(가) 중동 전쟁 이후 처음으로 공식적인 평화를 맺기로 합의했습니다. 우리측이 레바논에서 군대를 철수한다면 우리의 팔레스타인 통치에 동의할 것입니다. 이 조약이 성공한다면 국경 공인부터 시작해 $FROMCOUNTRY$과(와) 여러 외교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For the first time since the Arab-Israeli war, $FROMCOUNTRY$ has agreed to make a formal peace with us. If we withdraw our troops from South Lebanon, they will agree to police the Palestinians in the area. If this treaty is successful, we can begin diplomacy with $FROMCOUNTRY$, starting with formalizing our borders.;;;;;;;;;;x
EVT_8008755_B;안전 보장을 위해 점령을 계속해야 한다.;We must continue occupation to ensure security;;;;;;;;;;x
EVT_19471947_NAME;디아스포라의 끝;An end to the diaspora;;;;;;;;;;x
EVT_19471947_DESC;선택받은 사람들의 역사는 그 어느 것보다도 길지만 슬픕니다. 그 역사는 노예제, 억압, 게토, 대량학살 그리고 디아스포라로 얼룩져 있습니다.\n유대인의 민족의식을 그을린 것은 바로 유럽 유대인의 2/3을 조직적으로 몰살한 홀로코스트입니다. 이는, 그리고 디아스포라의 전체 역사는 이방인들과의 삶의 자연스러운 결과입니다.\n마침내 우리 땅에서 자유인으로서 살고, 우리 집에서 평화롭게 죽을 수 있습니다. 세상은 우리의 자유로 자유로워질 것이고, 우리의 부로 풍요로워질 것이며 우리의 위대함으로 확대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자신의 복지를 위해 무엇을 시도하든, 인류의 이익에는 강력하고 유익한 반응을 보일 것입니다.;The history of the chosen people is the longest of any - but it is a sad history. It is one of slavery. It is one of oppression. It is one of ghettos, genocide, pogroms, inquisitions, broken glass, forced conversions, and intolerance. It is one of diaspora.\nSeared into the Jewish national consciousness is the Shoah, in which two-thirds of European Jews were systematically exterminated. This, and the whole history of the diaspora, is a natural consequence of living among gentiles.\nWe shall live at last as free men on our own soil, and die peacefully in our own homes. The world will be freed by our liberty, enriched by our wealth, magnified by our greatness. And whatever we attempt there to accomplish for our own welfare, will react powerfully and beneficially for the good of humanity.;;;;;;;;;;x
EVT_19471947_A;고향을 위해 싸우겠다.;We will fight for our homeland.;;;;;;;;;;x